티스토리 뷰
목차
자산형성 지원 통장 사업은 취약 계층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사업의 전반적인 구조와 통장별 특징, 참여자 의무 교육, 추가 지원금 기준 등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자산형성 지원 통장 사업이란?
자산형성 지원 사업은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청년 등 취약계층이 자립에 필요한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 제도입니다. 정기적인 저축을 통해 정부의 매칭금 및 추가 지원금을 받으며, 자립을 위한 교육까지 함께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 개편 사항
2022년 통장사업이 개편되어, 기존 통장은 아래와 같이 통합되었습니다.
- 희망키움 통장 1 → 희망저축계좌 1
- 희망키움 통장 2 → 희망저축계좌 2
- 청년희망키움 통장/청년저축계좌 → 청년내일저축계좌
자산형성 지원 통장의 주요 유형
1. 희망저축계좌 1
대상: 일하는 생계·의료 수급가구
저축 조건: 월 10만 원 이상
정부지원금: 월 최대 30만 원
추가지원금: 탈수급장려금, 내일키움장려금, 수익금 등
2. 희망저축계좌 2
대상: 주거·교육 수급가구 및 기타 차상위계층
저축 조건: 월 10만 원 이상
정부지원금: 월 최대 10만 원
추가지원금: 내일키움장려금, 수익금
3.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근로 중인 만 19~34세 청년 (가구 소득 기준 충족)
저축 조건: 월 10만 원 이상
정부지원금:
- 중위소득 50% 이하: 월 30만 원
- 중위소득 50~100%: 월 10만 원
추가지원금: 근로소득 공제금, 탈수급 장려금, 장려금 및 수익금 등
신청 및 유지, 해지 절차
1. 신청: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
2. 유지: 저축 지속 + 근로활동 + 자립역량교육
3. 해지: 3년 만기 후 정산 (또는 중도 해지 사유 발생 시 정산)
※ 중도 해지 시, 조건에 따라 일부 금액만 수령 가능
자립 역량 교육 이수
통장 유형 | 이수 기준 | 방법 |
---|---|---|
희망저축계좌2 | 3년간 10시간 이상 | 집합 또는 동영상 교육 |
청년내일저축계좌 | 3년간 10시간 이상 | 동영상 교육 |
개편 전 통장 | 연간 교육 횟수 기준 | 집합 및 동영상 혼합 |
※ 교육 이수 여부는 지원금 지급 및 통장 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통장 운영 시 유의사항
- 적립 중지 신청 가능: 질병, 사고, 실직 등으로 최대 6개월 가능
- 중도 인출 가능: 1회 한정, 10만 원 제외한 금액만 가능
- 계좌 압류 가능성: 금융자산 압류 시 보호되지 않음
추가 지원금 상세 안내
지원금 명칭 |
지원 대상 |
지원 조건 |
---|---|---|
근로소득 공제금 | 청년내일저축계좌 | 월 10만 원 이상 저축 및 소득 발생 |
탈수급 장려금 | 희망저축계좌1/청년내일저축계좌 | 해지 시 수급 가구에서 벗어난 경우 |
내일키움 장려금 | 근로사업단 참여자 |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 + 12일 이상 근로 |
내일키움 수익금 | 사업단 매출 기반 | 월 최대 15만 원까지 |
민간 매칭 | 민간 후원 대상 | 월 10만 원 저축 시 최대 2만 원 |
시도 자활기금 매칭 | 시군구 요청 시 |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협의 후 지원 가능 |
내용 정리 및 활용하기
자산형성 지원 통장은 단순한 저축 상품이 아닙니다. 정부의 매칭금과 교육, 사례관리까지 결합된 자립 지원 프로그램으로, 취약 계층이 재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발판이 됩니다.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본인의 조건과 통장 유형에 따라 꼼꼼히 따져보고 참여한다면 큰 재정적 혜택과 함께 자립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